반응형 구공1 10종류의 금강경을 취합한 핵심 정리본 - 4 대승불교의 공 ; 아공 = 인공 = 인무아 , 법공 = 법무아 이공의 교의는 초기 대승불교의 근본적인 교의가 되었다. 인무아, 법무아 => 무아 = 이공 이공의 교의 또는 사상은 후대에 아공, 법공, 근공의 삼공 교의로 발전 ~ 이것이 금강경의 대의이다. 금강경의 대의를 "집착을 부수고 공을 나타내는 것"이라 해서 '파이집, 현삼공' 이라 한다. 아집과 법집의 두 집착을 부수어 아공과 법공 그리고 공한것 마저 공한 구공을 나타내는 법문이라는 것이다. 공은 개인존재와 그 구성요소와의 궁극적 비실재성을 말한다. 아공 ~ "나를 구성하는 것은 생멸, 변화하는 5요소인 오온(색수상행식)이 화합하여 이루어진 것일 뿐, 참으로 "나"라고 할 만한 실체는 없음을 뜻함 법공 ~ 오온의 자성(자체)도 공하다는 뜻으로 물.. 2021. 1.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