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불교의 공
; 아공 = 인공 = 인무아 , 법공 = 법무아
이공의 교의는 초기 대승불교의 근본적인 교의가 되었다.
인무아, 법무아 => 무아 = 이공
이공의 교의 또는 사상은 후대에 아공, 법공, 근공의 삼공 교의로 발전 ~ 이것이 금강경의 대의이다.
금강경의 대의를 "집착을 부수고 공을 나타내는 것"이라 해서 '파이집, 현삼공' 이라 한다.
아집과 법집의 두 집착을 부수어 아공과 법공 그리고 공한것 마저 공한 구공을 나타내는 법문이라는 것이다.
공은 개인존재와 그 구성요소와의 궁극적 비실재성을 말한다.
아공 ~ "나를 구성하는 것은 생멸, 변화하는 5요소인 오온(색수상행식)이 화합하여 이루어진 것일 뿐, 참으로 "나"라고 할 만한 실체는 없음을 뜻함
법공 ~ 오온의 자성(자체)도 공하다는 뜻으로 물질적, 정신적인 모든 존재의 실체관념을 부정하는 것
남방소승불고 ~ 무상, 고, 무아의 삼법인을 강조
대승불교 ~ 삼법인에서 더 나아가 아공, 법공, 구공 이라는 삼공을 말함
아공 = 생공 = 인공 이라고도 하고, 자아가 실재하고 자아의 영역이 존재한다고 하는 사고방식을 망상이라 하여 물리치는 것이다
법공 ~ 이 현상세계에 나타나고 있는 사물(법)이 모두 연기의 법칙에 의해 생기고 소멸하기 때문에, 이와같이 사물이 실재하고 그것의 영역이 존재한다고 하는 사고방식은 부정되어야 함을 가르친다
※ 일반적으로 소승불교는 아공을 설명하고, 대승불교는 아공과 법공의 이공을 명확히 함
아공 ~ 자아의 실체를 공이라 한 것이고, 사상(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을 버릴 때 얻어지는 것이다
법공 ~ 제 법이 다만 인연에 의해 생기고 존재하며, 연기에서 인정될 뿐 자천생이란 있을 수 없음을 밝힌다. 주관적 진리와 객관적 진리를 여읜 상태
'금강경 10종류 취합 압축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종류의 금강경을 취합한 핵심 정리본 - 3 (0) | 2021.01.10 |
---|---|
10종류의 금강경을 취합한 핵심 정리본 - 2 (0) | 2021.01.07 |
10종류의 금강경을 취합한 핵심 정리본 - 1 (0) | 2021.01.07 |
10종류의 금강경을 취합한 핵심 정리본 - 서두 (0) | 2021.0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