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강경 10종류 취합 압축 정리

10종류의 금강경을 취합한 핵심 정리본 - 2

by 다오^^ 2021. 1. 7.
반응형

- 불교는 진리이다.   ~ 사상과 이념이 아니다. 아(나)가 없기때문

- 불교는 진리를 드러낸다

- 애쓰고 수고할수록 겸손해라

 

모든 개념을 떠난 고요한 마음으로 이 경을 읽어라.

주석을 먼저 읽게되면 영향을 받을수도 있으니 경전부터 읽으라.

어떠한 주석자도 발견하지 못한 깨달음을 당신이 얻을 수 있다.

깨끗한 몸과 마음으로 경전의 말씀에 대하여 기도하듯이 읽어도 좋다.

자기 자신의 경험과 번뇌를 바탕으로 경전의 의미를 이해하려 노력한다.

 

이러한 부처님의 가르침이 나의 일상생활과 관련이 있는가? 라고 스스로에게 물어라.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생각이 아름다울지는 몰라도 자기자신의 삶과 아무런 관계가 없다면 무슨 소용이 있는가.

그러니 이렇게 물으라~

    # 이 말씀이 밥을 먹고, 차를 마시고, 길을 걷고, 사람을 만나는 일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金剛能斷般若波羅蜜 (금강능단반야바라밀) 이다

"금강석의 무지와 번뇌와 망상을 깨부수는 것" 이라는 뜻이다

한자 문화권에서는 일반적으로 "금강"이라는 단어를 강조하여 [금강경]이라 불리지만 사실 "깨부순다"는 말이 중요하다.

 

반야바라밀 : "완전한 지혜" "초월적인 깨달음" "번뇌의 바다를 건너 피안으로 이르게 하는 깨달음"

 

이 경전을 읽히고 수행해나가면 무지를 깨치고 그릇된 생각을 뛰어넘어 해탈의 언덕에 이를 수 있을 것이다

 

 

 

- 금강경의 구성

 

  서분 : 경전을 기록한 이가 그 경을 설해진 연유등을 기록한 부분

  정종분 : 부처님이 설한 가르침을 기록한 부분으로, 경전의 본론이자 핵심이다

  유통분 : 법문을 듣고 깨달음을 얻은 대중이 기뻐하는 부분을 묘사한 부분

 

 

- 금강경의 특징

 

  다른 경전과 달리 [금강경]은 전편에 걸쳐서 매우 특이한 논법을 구사한다. 긍정이 부정으로 바뀌었다가 다시 부정에서 긍정으로 변하는가 하면, 이것도 아니면서 동시에 저것도 아니라는 시이다

 

  주구가 가끔씩은 언어를 통해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느낀다.

  더구나 "진리란 무엇인가?" 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언어로 설명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금강경]은 생각이 그 어느쪽으로 고정되지 않게 하면서, 언어로는 도저히 전달할 수 없는 살아있는 깨달음을 듣는 이 스스로 체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말 아닌 말, 말을 넘어서는 말로써 언어적 한계를 뛰어넘었다.

  이는 존재의 실상인 "공"에 대한 언어적 가르침을 넘어서려는 선종의 정신과도 흐름을 같이 한다.

 

  [금강경]은 어느 한자락에 매달리는 것을 끊임없이 경계한다.

  또한 직접적인 언어로 지시하거나 표현하지 않으면서, 수행자 스스로 깨달음을 성취할 수 있도록 이끌어준다.

  정함이 있으면서도 정함이 없고, 정함이 없으면서도 정함이 있는 이치로 가는 길이 거기에서 열린다.

 

 

 

- 불교 공부의 목적

 

  우리 인생과 삼라만상의 진실을 밝혀나가는 것이다

  인생의 진실을 밝힘으로써, 인생이 지니고 있는 모든 가치와 보람을 누리기 위함이다

  부처님은 [금강경]의 가르침을 통해, 사람이 가장 행복하게 잘 사는 길을 열어보인다

 

 

 

 - 오랜 세월동안 [법화경]에 근거하여 부처님의 80 생애에 49년간의 교화 기간에 배정해서 팔만 대장경을 분류해오던 분류법

 

  성도직후 21일간

  깨달음의 세계를 남김없이 다 표현했다고 하는 화엄부의 경전 설한시기

 

  이후 12년

  깨달음의 내용을 설해도 알아듣는 이가 없는 관계로 방편상 쉽게 이해토록 아함부 경전 설한 시기

 

  이후8년

  수준을 조금 높여 방등부의 경전을 설한 시기

 

  이후21년

  불교사상중심을 이루는 [금강경]을 포함하여 반약부의 경전을 설한 시기

 

  이후 8년

  그동안 설해진 경전을 총정리하는 역할로서 법화부 경전을 설한 시기

 

=>오시교 : 팔만대장경을 5단계로 분류해 사람을 지도했다는 뜻

 

 

 

 - 금강경의 주제

  보리심(깨달음을 얻으려는 마음)을 어떻게 유지하고, 어떻게 나의 그릇된 마음을 항복받을 것인가?

   (云何應住 云何降伏其心) 운하응주 운하항복기심

  

반응형

댓글